환자의 불편을 세심하게 살피며,
신뢰할 수 있는 진단과 치료로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앉아 있는 시간이 늘어난 현대인의 일상에서 허리 통증은 흔한 증상이 됐다. 통증이 일시적이라면 간단한 스트레칭이나 휴식만으로도 나아질 수 있지만, 다리 저림이나 감각 이상 등이 함께 느껴진다면 단순한 근육통이 아닌 신경계 질환을 의심해야 한다. 특히 나이가 들수록 발병 가능성이 높아지는 척추관협착증은 단순한 요통과 달리 치료 시기를 놓치면 만성화될 수 있으며, 조기 진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척추관협착증은 척추를 통과하는 통로인 ‘척추관’이 좁아지며 신경을 압박해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과거에는 대부분 고령층에서 발생하는 퇴행성 질환으로 여겨졌으나, 최근에는 운동 부족과 잘못된 자세, 무리한 체중 증가 등으로 20~30대 젊은 층에서 발병 사례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 최병삼 원장 (사진=울산비에스신경외과 제공)
해당 질환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악화되기 때문에 초기 증상에 대한 인식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는 허리 통증이 주 증상이지만, 협착이 심해질수록 엉덩이나 허벅지, 종아리, 심지어 발목까지 이어지는 방사통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는 마치 불에 타는 듯하거나 찌르는 듯한 통증을 느끼는 경우도 있으며, 다리에 감각이 둔해 지거나 근력이 떨어지기도 한다.
특히 걸을 때 다리가 저리고 통증이 심해져 잠시 멈춰 쉬어야 하며, 다시 걸었을 때 증상이 재발하는 ‘간헐적 파행’은 척추관협착증의 대표적인 특징이다. 이 같은 증상은 허리를 뒤로 젖힐 때 심해지고, 구부렸을 때는 다소 완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척추관협착증이 반드시 수술이 필요한 질환은 아니다. 초기라면 도수치료, 물리치료, 체외충격파, 프롤로치료, 경막외 주사치료 등 다양한 비수술적 치료로 증상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통증이 극심하거나 보행 장애가 심한 경우에는 영상 의학적 검사 등을 통해 협착의 정도를 정밀하게 진단한 후, 필요한 치료법을 적용하게 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증상이 나타났을 때 방치하지 않고 조기에 의료진의 진단을 받는 것이다. 증상이 경미하더라도 협착이 서서히 진행될 경우 일상생활이 제한될 만큼 상태가 나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울산비에스신경외과 최병삼 대표원장은 “척추관협착증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악화되는 진행성 질환이기 때문에 조기 발견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특히 젊은 층에서도 비슷한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늘고 있는 만큼 허리 통증 뿐만 아니라 다리 저림이나 감각 이상까지 동반된다면 정밀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메디컬투데이 조성우 기자(ostin0284@mdtoday.co.kr)
출처: 메디컬투데이(https://mdtoday.co.kr/news/view/1065585779637581)